삶의 지혜

마늘 염류장해, 스펀지 마늘 발생원인 및 예방

아모이트리 2023. 3. 23. 16:59
반응형

마늘 재배지 염류장해는?

마늘 염류장해 발생원인 및 예방

마늘 염류장해 현상

마늘의 염류장해는 엽신이 구부러진 채 얇은 피막으로

싸여서 전개가 되지 못하고 엽초의 내부는

쭈글쭈글한 증상의 기현상으로 나타납니다.

이 증상은 1978년 한발이 심할 때

충남 서산 농가포장에서 나타나

토양과 식물체를 분석한 결과 염류장해로 밝혀졌습니다.

마늘 염류장해 피해 받은 토양

염류장해를 받지 않은 토양에 비하여

pH와 수분함량 차이는 없으나,

염류농도(EC)가 1.0lds/m로 높았고,

무기성분 함량도 건전주로 비하여 부위별로 보면

엽신보다 엽초에서 높았습니다.

마늘 염류장해 피해 증상

장해를 받은 마늘은 엽초에서 엽신으로

양분의 이동이 안 된 채 축적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일반적으로 장해가 나타나기 쉬운 작물은

양파, 상추, 딸기 등이며,

양파의 경우 염류농도가 0.5ds/m 이상일 때

장해가 나타나고 염류의 집적은 비료를 다량 시용했을 때

토양수가 아래로부터 위로 이동하여 하층의 Ca, Mg 등이

경토에 집적되고 초산이 Ca, Mg 및 K와 결합하여

장해를 발생시킨다고 합니다.

마늘 염류장해 방지 대책

염류장해 방지책으로는 심경, 유기물시용,

또는 피복방법 등에 의하여 장해를 경감할 수 있으나

기본적으로는 비료를 1회에 다량 시용하지 말고

가급적 분시해야 합니다.

표면에 집적한 염류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볏짚은 피복하거나 충분한 관수로

염류가 유실되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출처:농촌진흥청-스펀지마늘 현상]

스펀지 마늘(뻥마늘)

스펀지 마늘 발생원인 및 예방

스펀지 마늘 발생원인

1994년 마늘 값 상승으로 중국에서 식용으로

1995년에 구입한 마늘을 전남 무안 등에서 파종한

마늘 중 1,400ha 정도에서 인편이 형성 되지 않았는데

이 마늘을 스펀지(뻥) 마늘이라 칭합니다.

스펀지 마늘은 상위 5~6엽이 아주 밀생해 있고,

주아(종대)의 생성과 출현이 안 될 뿐만 아니라

주대가 막혀 있으며,

인편부화와 결구가 되지 않습니다.

[출처:농촌진흥청-스펀지마늘 현상]

스펀지 마늘 발생원인

겨울 이상난동과 종구 자체의 생리적인 요인 등이

복합적으로 상호작용하여 발생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나 정확한 원인은 알려지지 않고 있습니다.

스펀지 마늘 발생 예방

이러한 마늘은 구가 형성되지 않아

일부 보통 마늘 인편 2개 크기의 구가 생기는 것도 있으나

질감이 양파와 비슷하고 약간 쓴맛이 나기 때문에

상품성이 전혀 없으므로 발견 즉시 뽑아 없애야 합니다.

[출처:농촌진흥청-마늘재배]

지금까지 마늘 재배

염류장해 현상과 스펀지마늘

발생원인과 예방에관해 살펴봤습니다.

반응형